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좋은 질문이에요 👍
React 자체는 특별한 문자열 유틸을 제공하지 않지만, JS 기본 함수로 **“치환, 배열 분리, 포함 여부 검사”**는 거의 전부 해결할 수 있고, 실무에서는 이를 감싼 커스텀 유틸 함수를 만들어 두는 게 일반적입니다.

아래에 🔥 자주 쓰는 3가지 카테고리별 유틸을 정리해드릴게요:


✏️ 1. 문자열 치환 (replace / replaceAll)

// ✅ 단순 치환 (처음 하나만)
const result1 = "Hello World".replace("World", "React");
// → "Hello React"

// ✅ 모든 항목 치환 (replaceAll 또는 정규식)
const result2 = "apple banana apple".replaceAll("apple", "orange");
// → "orange banana orange"

const result3 = "apple banana apple".replace(/apple/g, "orange");
// → "orange banana orange"

// ✅ 여러 단어를 한 번에 치환 (객체 매핑 활용)
const replaceMap = (str, map) =>
  str.replace(new RegExp(Object.keys(map).join("|"), "g"), (m) => map[m]);

console.log(replaceMap("I like red and blue", { red: "green", blue: "yellow" }));
// → I like green and yellow

팁: React에서 입력 값 전처리(공백 제거, 금칙어 치환 등)에도 자주 사용됩니다.


📚 2. 특정 문자열 기준으로 배열화 (split)

// ✅ 구분자로 배열 생성
const fruits = "apple,banana,orange".split(",");
// → ["apple", "banana", "orange"]

// ✅ 줄바꿈 기준으로 나누기
const lines = "1줄\n2줄\n3줄".split("\n");
// → ["1줄", "2줄", "3줄"]

// ✅ 정규식 활용 (공백/쉼표 모두 기준)
const words = "apple, banana  orange".split(/[\s,]+/);
// → ["apple", "banana", "orange"]

// ✅ 특정 문자열 기준으로 앞뒤 나누기 (2개만)
const [before, after] = "title:React".split(":");
// before = "title", after = "React"

📌 실전 예:
서버에서 "A|B|C" 같은 문자열이 올 때 배열로 만들어 React map()으로 UI를 뿌리는 데 자주 쓰입니다.


🔍 3. 특정 문자열 포함 여부 / 위치 찾기

// ✅ 포함 여부 확인 (대소문자 구분)
"Hello React".includes("React"); // true

// ✅ 대소문자 무시 포함 확인
"Hello React".toLowerCase().includes("react"); // true

// ✅ 시작/끝 검사
"Hello React".startsWith("Hello"); // true
"Hello React".endsWith("React");   // true

// ✅ 위치 찾기 (indexOf / lastIndexOf)
"Hello React".indexOf("React"); // 6 (없으면 -1)

// ✅ 조건문 활용 예시
if ("apple banana".includes("banana")) {
  console.log("🍌 포함됨!");
}

🧪 보너스: 응용 예제 (3가지 기능 조합)

아래는 실무에서 자주 쓰는 문자열 → 배열 → 검사 흐름 예시예요 👇

const csv = "id:1,name:John,age:20";

// ① 콤마로 나눠 배열로
const pairs = csv.split(",");

// ② 각 항목을 key:value 객체로 변환
const obj = Object.fromEntries(pairs.map(pair => pair.split(":")));
// → { id: "1", name: "John", age: "20" }

// ③ 특정 key 포함 여부 검사
if ("name" in obj) {
  console.log(`이름: ${obj.name}`); // 이름: John
}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fatch, axios 사용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Effect로 알아보기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STATE 변수관리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핵심특징 7가지  (0) 2025.09.28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React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(fetch) 방법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예요:
1️⃣ 기본 내장 fetch() API
2️⃣ 외부 라이브러리 axios

두 방법 모두 자주 쓰이고,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선택합니다. 아래에 종류별 예제 + 설명을 정리했어요 👇


🌐 1. fetch() 기본 사용법

기본 문법 (GET 요청):

import { useEffect, useState } from "react";

export default function App() {
  const [posts, setPosts] = useState([]);

  useEffect(() => {
    fetch("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") // API 주소
      .then((res) => res.json()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 응답을 JSON으로 변환
      .then((data) => setPosts(data))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// state에 저장
      .catch((err) => console.error("에러:", err));   // 에러 처리
  }, []);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h2>📦 fetch 예제</h2>
      <ul>
        {posts.map((p) => (
          <li key={p.id}>{p.title}</li>
        ))}
      </ul>
    </div>
  );
}

📌 설명:

  • fetch()는 브라우저 내장 함수 → 별도 설치 필요 없음
  • .then() 체인을 사용하거나 async/await도 가능
  • 응답을 JSON으로 변환하려면 .json()을 꼭 호출해야 함
  • 에러 처리가 try/catch 대신 .catch()에서 이뤄짐

POST 요청 (데이터 전송):

async function addPost() {
  const response = await fetch("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", {
    method: "POST",
    headers: {
      "Content-Type": "application/json",
    },
    body: JSON.stringify({ title: "새 글", body: "내용", userId: 1 }),
  });

  const result = await response.json();
  console.log("✅ 저장 결과:", result);
}

📌 포인트:

  • method 지정 필요
  • headers로 JSON 전송 명시
  • body는 반드시 문자열(JSON.stringify)

📡 2. axios 사용법

Axios는 Promise 기반 HTTP 클라이언트로, fetch보다 기능이 많고 문법이 간결합니다.

📦 설치:

npm install axios

기본 GET 요청:

import axios from "axios";
import { useEffect, useState } from "react";

export default function App() {
  const [posts, setPosts] = useState([]);

  useEffect(() => {
    axios
      .get("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")
      .then((res) => setPosts(res.data))       // JSON 변환 불필요
      .catch((err) => console.error("에러:", err));
  }, []);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h2>📦 axios 예제</h2>
      <ul>
        {posts.map((p) => (
          <li key={p.id}>{p.title}</li>
        ))}
      </ul>
    </div>
  );
}

📌 fetch와 비교 포인트:

  • res.json() 필요 없음 → res.data 바로 사용
  • 자동으로 JSON 변환 처리
  • 에러가 catch로 잘 전달됨
  • 요청/응답 인터셉터, 기본 URL, 헤더 설정 등 고급 기능 많음

POST 요청 (axios):

async function addPost() {
  try {
    const res = await axios.post("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posts", {
      title: "새 글",
      body: "내용",
      userId: 1,
    });
    console.log("✅ 저장 결과:", res.data);
  } catch (error) {
    console.error("에러 발생:", error);
  }
}

📊 fetch vs axios 비교표

항목fetchaxios
설치 필요 ❌ 없음 (기본 내장) ✅ 필요 (npm install axios)
문법 간결성 👎 다소 복잡 (json 변환 필요) 👍 직관적 (자동 JSON)
에러 처리 일부 제한 있음 에러 정보 상세
요청/응답 인터셉터 ❌ 없음 ✅ 있음
기본 URL/헤더 설정 ❌ 없음 ✅ 있음
브라우저 호환성 ✅ 최신 브라우저
취소 토큰 / 타임아웃 ❌ 직접 구현 필요 ✅ 기본 제공

 

🧭 HTTP 메서드별 개념 & 용도 정리

메서드역할주 용도특징예시 상황
GET 📦 데이터 “조회” 서버에서 데이터 가져오기 Body 없음, URL로 요청 게시글 목록 보기, 상세보기
POST ✏️ 데이터 “생성” 새 데이터 등록 Body에 새 데이터 포함 회원가입, 새 글 작성
PUT 🛠 데이터 “전체 수정” 기존 데이터를 “완전히” 교체 Body에 전체 객체 포함 게시글 전체 수정
PATCH 🪛 데이터 “부분 수정” 일부 필드만 수정 Body에 수정 필드만 포함 닉네임만 변경
DELETE 🗑 데이터 “삭제” 서버의 리소스 삭제 Body 거의 없음 회원 탈퇴, 게시글 삭제

 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문자열함수(JAVASCRIPT)  (0) 2025.10.03
[REACT] useEffect로 알아보기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STATE 변수관리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핵심특징 7가지  (0) 2025.09.28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⚛️ useEffect란?

useEffect는 React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부수효과(Side Effect) 를 처리하기 위한 훅(Hook)입니다.
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작이 모두 “부수효과”에 해당해요 👇

  • 📡 API 호출 (데이터 가져오기)
  • ⏱️ 타이머/인터벌 설정
  • 📦 로컬스토리지 접근
  • 📍 DOM 직접 조작
  • 🧹 구독 해제나 리소스 정리(cleanup)

즉, 렌더링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외부 동작을 처리할 때 useEffect를 사용합니다.

useEffect(() => {
  // 이 안에서 부수효과 실행
  return () => {
    // (선택) cleanup: 컴포넌트가 사라질 때 실행
  };
}, [dependency]);

 

  • 첫 번째 인자: 실행할 함수
  • return 부분: cleanup (선택 사항)
  • 두 번째 인자 []: 의존성 배열 → 언제 실행할지 제어

📌 예제 1 –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 1회 실행

 

import React, { useState, useEffect } from "react";

function Welcome() {
  const [message, setMessage] = useState("로딩 중...");

  useEffect(() => {
    // ✅ 마운트 시 한 번만 실행
    setTimeout(() => {
      setMessage("안녕하세요! 👋");
    }, 1500);
  }, []); // ← 의존성 배열이 빈 배열이면 '처음 한 번만'

  return <h2>{message}</h2>;
}

export default Welcome;

📍 동작

  •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만 setTimeout() 실행
  • 1.5초 후 메시지가 업데이트되고 화면이 다시 렌더링됨

📌 예제 2 – 상태 변화마다 실행

import React, { useState, useEffect } from "react";

function Counter() {
  const [count, setCount] = useState(0);

  useEffect(() => {
    console.log(`📢 카운트가 ${count}로 변경됨`);
  }, [count]); // count가 바뀔 때마다 실행됨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p>현재 카운트: {count}</p>
      <button onClick={() => setCount(count + 1)}>+1</button>
    </div>
  );
}

export default Counter;

📍 동작

  • count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useEffect 안의 함수 실행
  • 콘솔에 새로운 값 로그 출력

📌 예제 3 – 타이머 사용 + 정리(cleanup)

import React, { useState, useEffect } from "react";

function Timer() {
  const [sec, setSec] = useState(0);

  useEffect(() => {
    const id = setInterval(() => setSec(s => s + 1), 1000);
    console.log("⏱️ 타이머 시작");

    // ✅ cleanup: 컴포넌트가 사라질 때 실행
    return () => {
      clearInterval(id);
      console.log("🧹 타이머 정리 완료");
    };
  }, []); // 마운트 시 1회 실행

  return <h2>⏱️ {sec}초 경과</h2>;
}

export default Timer; 

📍 동작

  • 컴포넌트가 처음 나타날 때 setInterval 시작
  • 1초마다 sec 상태 증가 → UI 자동 갱신
  • 컴포넌트가 사라질 때 clearInterval()로 메모리 누수 방지

✅ 정리

옵션설명실행 시점
useEffect(() => {...}, []) 마운트 시 1회만 실행 최초 렌더링
useEffect(() => {...}, [state]) 특정 상태/props가 바뀔 때 실행 의존성 변경 시
return () => {...} 정리(cleanup) 함수 언마운트 또는 재실행 전

 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문자열함수(JAVASCRIPT)  (0) 2025.10.03
[REACT] fatch, axios 사용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STATE 변수관리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핵심특징 7가지  (0) 2025.09.28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useState란?

useState는 React에서 컴포넌트의 상태(state)를 관리하기 위한 기본 훅(Hook)입니다.
함수형 컴포넌트에서 변수값을 기억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해주며, 값이 바뀌면 자동으로 UI를 다시 렌더링합니다.

📌 문법:

const [state, setState] = useState(initialValue);

 

  • state: 현재 상태 값
  • setState: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
  • initialValue: 상태의 초기값

🧪 기본 예제 – 카운터 만들기

import React, { useState } from "react";

function Counter() {
  // count라는 상태를 0으로 초기화
  const [count, setCount] = useState(0);

  // +1 증가
  const increase = () => setCount(count + 1);
  // 초기화
  const reset = () => setCount(0);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h2>현재 카운트: {count}</h2>
      <button onClick={increase}>+1</button>
      <button onClick={reset}>초기화</button>
    </div>
  );
}

export default Counter;

📍 실행 흐름:

  • 처음 렌더링 시 count는 0
  • 버튼 클릭 시 setCount()가 실행 → 상태 변경
  • 상태가 바뀌면 자동으로 다시 렌더링되어 화면의 숫자도 갱신됨

🧪 예제 2 – 토글 상태 관리

import React, { useState } from "react";

function LoginToggle() {
  const [isLoggedIn, setIsLoggedIn] = useState(false);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p>{isLoggedIn ? "✅ 로그인 상태" : "🔒 로그아웃 상태"}</p>
      <button onClick={() => setIsLoggedIn(!isLoggedIn)}>
        {isLoggedIn ? "로그아웃" : "로그인"}
      </button>
    </div>
  );
}

export default LoginToggle;

📍 실행 흐름:

  • 초기 상태는 false → “로그아웃 상태” 표시
  • 버튼 클릭 시 !isLoggedIn으로 상태가 반전 → UI도 자동 변경

✅ 정리

  • 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저장·업데이트하는 기본 훅
  • 상태 변경 시 자동 렌더링 → DOM 조작 불필요
  • 다양한 타입(숫자, 문자열, 배열, 객체 등) 저장 가능
  • 이벤트·폼 입력·토글 UI 등에서 가장 자주 사용됨

 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문자열함수(JAVASCRIPT)  (0) 2025.10.03
[REACT] fatch, axios 사용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Effect로 알아보기  (0) 2025.09.28
[REACT] 핵심특징 7가지  (0) 2025.09.28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⚛️ React의 7가지 핵심 특징 정리

1️⃣ 컴포넌트 기반 구조 (Component-Based Architecture)

React는 UI를 작고 독립적인 컴포넌트(Component) 단위로 쪼개어 개발합니다.
각각의 컴포넌트는 자신의 상태(state)와 UI를 관리하며, 조합하여 복잡한 화면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이 방식은 재사용성, 유지보수성, 협업 효율성을 모두 높여줍니다.

 
function Header() {
  return <h1>안녕하세요!</h1>;
}

function App() {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Header />
      <p>컴포넌트 조합으로 화면 구성</p>
    </div>
  );
}

2️⃣ 가상 DOM (Virtual DOM)

React는 브라우저 DOM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, 메모리에 가상의 DOM(Virtual DOM)을 만들어 변경 사항만 비교(diff)한 후
필요한 부분만 최소한으로 업데이트합니다.
이로 인해 불필요한 렌더링을 줄이고 성능이 대폭 향상됩니다.

 
function Counter() {
  const [count, setCount] = React.useState(0);

  return (
    <div>
      <h2>{count}</h2>
      <button onClick={() => setCount(c => c + 1)}>+1</button>
    </div>
  );
}

3️⃣ 단방향 데이터 흐름 (One-Way Data Flow)

React는 부모 → 자식 방향으로만 데이터가 흐르는 단방향 데이터 플로우 구조를 가집니다.
데이터 흐름이 단순해 예측 가능성이 높고, 디버깅이 쉽습니다.

 
function Child({ text }) {
  return <p>{text}</p>;
}

function Parent() {
  return <Child text="단방향 데이터 흐름 예제" />;
}

4️⃣ 선언적 UI (Declarative UI)

React는 명령형 방식으로 DOM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, “무엇을 보여줄지”를 선언합니다.
상태(state)가 변경되면 React가 알아서 UI를 다시 렌더링해주므로 코드가 간결하고 유지보수가 쉽습니다.

 
function App() {
  const [loggedIn, setLoggedIn] = React.useState(false);
  return <div>{loggedIn ? "로그인 성공!" : "로그인이 필요합니다"}</div>;
}

5️⃣ Hooks를 통한 상태 관리 (Hooks & State)

useState, useEffect 같은 Hooks를 사용하면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와 생명주기 제어가 가능합니다.
복잡한 상태는 Redux, Zustand, Recoil 등의 라이브러리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 
function Timer() {
  const [sec, setSec] = React.useState(0);

  React.useEffect(() => {
    const id = setInterval(() => setSec(s => s + 1), 1000);
    return () => clearInterval(id); // cleanup
  }, []);

  return <div>{sec}초</div>;
}

6️⃣ 풍부한 생태계 & 커뮤니티 (Rich Ecosystem & Community)

React는 라우팅(react-router), 상태 관리, UI 라이브러리(Material UI, Chakra UI) 등 다양한 생태계를 갖추고 있으며
전 세계적으로 커뮤니티가 활발하여 문제 해결 속도가 빠르고 자료가 풍부합니다.

 
import { BrowserRouter, Routes, Route, Link } from "react-router-dom";

function App() {
  return (
    <BrowserRouter>
      <nav><Link to="/about">About</Link></nav>
      <Routes>
        <Route path="/about" element={<div>About Page</div>} />
      </Routes>
    </BrowserRouter>
  );
}

7️⃣ 다양한 플랫폼 지원 (Cross-Platform Support)

React는 웹(React DOM)뿐 아니라 모바일(React Native), 데스크톱(Electron), SSR(Next.js) 등
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import { View, Text, Button } from "react-native";

export default function MobileApp() {
  return (
    <View>
      <Text>Hello React Native</Text>
      <Button title="확인" onPress={() => {}} />
    </View>
  );
}

📊 한눈에 보는 요약

특징설명장점
🧩 컴포넌트 기반 UI를 재사용 가능한 단위로 구성 유지보수성 ↑, 재사용성 ↑
⚡ Virtual DOM 변경 부분만 렌더링 성능 ↑
🔄 단방향 데이터 흐름 부모 → 자식 데이터 전달 예측 가능성 ↑
🧠 선언적 UI 상태 기반 자동 UI 업데이트 코드 간결성 ↑
🪝 Hooks 상태·생명주기 제어 및 확장성 재사용성 ↑
📦 생태계 라우팅·UI·상태관리 등 풍부 생산성 ↑
🌐 멀티 플랫폼 웹 / 모바일 / 데스크톱 지원 확장성 ↑

'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REACT] 문자열함수(JAVASCRIPT)  (0) 2025.10.03
[REACT] fatch, axios 사용법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Effect로 알아보기  (0) 2025.09.28
[REACT] USESTATE 변수관리법  (0) 2025.09.28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개인정보처리방침 양식을 찾으시는군요. 플레이스토어 통과를 목표로 하는 효과적인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단순히 빈칸을 채우는 양식보다는, 앱의 실제 데이터 처리 방식을 정확히 반영하는 맞춤형 문서여야 합니다.

하지만 일반적인 개인정보처리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필수적인 내용들을 바탕으로, 플레이스토어 앱을 위한 개인정보처리방침 양식의 큰 틀과 각 섹션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 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. 이 양식을 기반으로 귀하의 앱에 맞게 내용을 상세히 채우고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.


[sssSoft] 개인정보처리방침

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은 [sssSoft] (이하 "저희" 또는 "앱")이 [날짜]부터 사용자로부터 수집하고 사용하는 개인정보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. 저희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소중히 여기며, 관련 법령 및 규정을 준수하고 투명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


1.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종류 및 수집 방법

저희 앱은 원활한 서비스 제공 및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.

가. 직접 수집 정보 (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정보)

  • 회원가입/계정 정보: [이름, 이메일 주소, 전화번호, 프로필 사진, 소셜 로그인 정보 (예: Google, Apple ID), 생년월일, 성별 등 앱에서 수집하는 특정 계정 정보를 명시하세요.]
    • 예시: 이메일 주소 (회원 인증 및 비밀번호 찾기), 프로필 사진 (다른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프로필), 닉네임 (서비스 내 식별 목적)
  • 결제 정보: [인앱 결제 등이 있는 경우, 실제로 앱에서 결제 정보를 직접 수집하는지 여부를 명시하세요. 보통 결제는 제3자 결제대행사(PG사)를 통해 이루어지므로, 이 경우 PG사를 명시하고 직접 수집하지 않음을 밝혀야 합니다.]
    • 예시: 저희 앱은 직접 결제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지 않으며, 모든 결제는 [결제대행사 이름, 예: Google Play Billing]를 통해 처리됩니다.
  • 사용자 생성 콘텐츠: [앱 내에서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거나 업로드하는 콘텐츠 유형을 명시하세요. 예: 채팅 메시지, 게시물, 댓글, 사진, 동영상, 음성 녹음 등]
    • 예시: 채팅 메시지 (앱 내 소통 기능), 게시물 (사용자 간 정보 공유), 사진 (프로필 설정)
  • 고객 지원 문의: [서비스 이용 중 문의사항을 접수할 때 제공되는 정보. 예: 문의 내용, 연락처 정보 등]

나. 자동 수집 정보 (앱 사용 과정에서 자동으로 생성 및 수집되는 정보)

  • 기기 정보: [기기 모델, 운영체제 버전, 고유 기기 식별자 (예: 광고 ID, 기기 ID), IP 주소, 기기 언어 설정, 앱 버전 등]
    • 예시: 기기 식별자 (서비스 오류 분석 및 통계), IP 주소 (보안 및 지역 서비스 제공)
  • 사용 기록: [앱 사용 빈도, 기능 사용 기록, 서비스 이용 시간, 접속 로그, 앱 충돌 정보 등]
    • 예시: 앱 사용 기록 (서비스 개선 및 사용자 경험 분석), 오류 로그 (버그 수정 및 안정성 확보)
  • 위치 정보: [사용자 동의하에 수집하는 경우에만 명시하세요. GPS 기반 위치, 네트워크 기반 (Wi-Fi, 셀룰러) 위치 등]
    • 예시: 정확한 위치 (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, 예: 주변 상점 찾기), 대략적인 위치 (맞춤형 콘텐츠 제공)
  • 쿠키 및 유사 기술: [웹뷰를 사용하거나 웹 기반 기능이 있는 경우에만 명시하세요. 쿠키, 웹 비콘 등]
    • 예시: 쿠키 (사용자 로그인 상태 유지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)

2.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

저희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으로 활용합니다.

  • 서비스 제공 및 운영: [앱의 핵심 기능을 제공하고, 계정을 관리하며,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고, 기술 지원을 제공합니다.]
  • 서비스 개선 및 개발: [앱의 성능을 분석하고, 버그를 수정하며, 새로운 기능 및 서비스를 개발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.]
  • 맞춤형 서비스 제공: [사용자의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개인화된 콘텐츠, 추천 서비스, 맞춤 광고 등을 제공합니다.]
  • 마케팅 및 광고 (해당하는 경우): [이벤트 및 프로모션 안내, 맞춤형 광고 게재 등]
  • 보안 및 부정 이용 방지: [서비스의 보안을 유지하고, 불법적이거나 승인되지 않은 활동을 방지합니다.]
  • 법적 의무 준수: [관련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하고, 법적 요청에 응답합니다.]

3.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및 공유

저희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외부에 제공하지 않습니다. 단,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공유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제3자 서비스 이름, 예: Google Analytics for Firebase]:
    • 제공 목적: [앱 사용 통계 분석, 서비스 개선]
    • 제공 정보 유형: [기기 정보, 사용 기록, 앱 충돌 데이터 (개인 식별 불가능한 형태로)]
    • 관련 정책: [해당 제3자 서비스의 개인정보처리방침 URL]
  • [제3자 서비스 이름, 예: AdMob (Google) / Facebook Audience Network (Meta)]:
    • 제공 목적: [맞춤형 광고 제공, 광고 효과 측정]
    • 제공 정보 유형: [광고 ID, 기기 정보, 앱 사용 기록]
    • 관련 정책: [해당 제3자 서비스의 개인정보처리방침 URL]
  • [결제대행사 이름, 예: Google Play Billing]:
    • 제공 목적: [결제 처리 및 정산]
    • 제공 정보 유형: [결제 관련 정보 (신용카드 번호 등 민감 정보는 보통 직접 수집하지 않음), 거래 내역]
    • 관련 정책: [해당 결제대행사 또는 플랫폼의 개인정보처리방침 URL]
  • 법적 의무: 관련 법률에 의거하거나 수사 목적으로 법률에서 정한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사기관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
4. 개인정보의 보관 및 파기

가. 보관 기간:

  • 사용자의 개인정보는 원칙적으로 서비스 이용 목적이 달성되거나, 법률에 따른 보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보관됩니다.
    • 예시: 회원 탈퇴 시, 모든 개인정보는 [즉시 또는 5일 이내, 30일 이내 등 구체적인 기간] 파기됩니다. 단, 관련 법령에 따라 보존해야 하는 정보는 해당 법령이 정한 기간 동안 보관됩니다.

나. 파기 절차 및 방법:

  • 개인정보는 목적 달성 후 별도의 DB로 옮겨져(종이의 경우 별도 서류함) 관계 법령에 따라 일정 기간 저장된 후 파기됩니다.
  • 전자적 파일 형태로 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삭제하며, 종이 문서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.

5. 사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 및 행사 방법

사용자 (만 14세 미만 아동의 경우 법정대리인)는 언제든지 다음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.

  • 개인정보 열람 요구: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의 개인정보에 대한 열람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: 개인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정정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삭제 요구: 회원 탈퇴 등을 통해 개인정보의 삭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처리 정지 요구: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정지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권리 행사는 [앱 내 설정 메뉴, 이메일 ([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이메일 주소]), 또는 서면]을 통해 가능하며, 저희는 요청에 대해 지체 없이 조치하겠습니다.


6.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

저희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.

  • 기술적 조치: 개인정보 암호화, 보안 프로그램 설치 및 주기적 업데이트, 백업 시스템 운영 등
  • 관리적 조치: 개인정보 취급 직원의 최소화 및 교육, 접근 권한 관리, 내부 관리 계획 수립 및 시행 등

7. 아동의 개인정보 보호

저희 앱은 원칙적으로 만 14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지 않습니다. 만약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가 수집된 사실을 인지하게 될 경우, 해당 정보를 즉시 삭제할 것입니다. 만약 아동의 개인정보가 필요하다면, 관련 법령에 따라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을 것입니다.


8.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 및 연락처

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나 불만사항이 있으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

  • 회사/개인 개발자명: [귀하의 회사명 또는 개인 개발자 이름]
  • 개인정보 보호 책임자: [이름 또는 직책, 예: 개인정보 보호 관리자]
  • 이메일: [문의용 이메일 주소]

9. 개인정보처리방침 변경

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법령, 정책 또는 보안 기술의 변경에 따라 내용이 변경될 수 있으며, 변경 사항은 최소 7일 전에 [앱 내 공지, 웹사이트 공지 등 변경 고지 방법 명시]를 통해 사용자에게 고지됩니다.

  • 공고일: [2025년 7월 25일]
  • 시행일: [2025년 7월 25일]

이 양식을 채우면서 다음 사항을 꼭 기억하세요:

  • 정확성: 앱이 실제로 수집하고 사용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.
  • 투명성: 모호한 표현 없이, 사용자에게 모든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.
  • 최신성: 앱 기능이 변경되거나 새로운 SDK를 추가할 때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.
  • 전문가 검토: 가능하면 법률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.

이 양식이 플레이스토어 정책을 준수하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
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
//페이스북앱 인스타그램앱 따로처리하기

var ua = navigator.userAgent || navigator.vendor || window.opera;

if( (ua.indexOf("FBAN") > -1) || (ua.indexOf("FBAV") > -1) || (ua.indexOf('Instagram') > -1) || (ua.indexOf('GSA') > -1) ){

처리구문

}
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//셀클릭시 이벤트

$(jqxGid셀렉터).on("cellclick", function (event){

//값을 가져옵니다.

var bool = $(jqxGid셀렉터).jqxGrid('getcellvalue', event.args.rowindex, "columnName");

console.log("bool :"+bool);

if(bool){

alert("11");

//값을 변경합니다.(고정값, row수, columnName, 값

$(jqxGid셀렉터).jqxGrid('setcellvalue', event.args.rowindex, 'columnName', false);

}else{

alert("22");

$(jqxGid셀렉터).jqxGrid('setcellvalue', event.args.rowindex, 'columnName', true);

}

});


var column = event.args.column;

var rowindex = event.args.rowindex; // 몇번째줄인지

var columnindex = event.args.columnindex; // 몇번째 칼럼인지
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
1. HTML

<embed src="파일명" width="600" height="500" alt="pdf" pluginspage="http://www.adobe.com/products/acrobat/readstep2.html">


2. 

<style>

#overlay_t { background-color: #000; bottom: 0; left: 0; opacity: 0.5; filter: alpha(opacity = 50); /* IE7 & 8 */ position: fixed; right: 0; top: 0; z-index: 99; display:none;}

#popup_layer { width:400px; margin-bottom:30px; background:#fff; border:solid 1px #ccc; position:absolute; top:260px; left:50%; margin-left:-200px; box-shadow: 0px 1px 20px #333; z-index:100; display:none;}

</style>


3. script

$(document).ready(function(){

$('#popup_layer, #overlay_t').show(); 

 $('#overlay_t, .close').click(function(e){ 

        e.preventDefault(); 

        $('#popup_layer, #overlay_t').hide(); 

    }); 
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ss 글자색과 배경옵션  (0) 2015.05.30
CSS 적용하는 3가지 방법  (0) 2015.05.30
336x280(권장), 300x250(권장), 250x250,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.

안녕하세요.


Linux Centos 인터넷 설정입니다.




파일명은 약간 다를 수도 있습니다.(파일경로는 동일)

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

onboot=no -> onboot=yes 변경

!:wq (저장)

!;q!(미저장 종료)


service network restart // 재시작



해당 화면에 인터넷 화면도 있습니다.


감사하니다.








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nux Centos 설치하기  (0) 2019.04.06
Linux Centos 다운로드  (0) 2019.04.06
Linux 기초 명령어  (0) 2017.06.10
리눅스에서 톰켓 재시작 및 로그보기  (0) 2017.02.12

+ Recent posts